728x90
반응형

1990년 밸런타인데이인 2월 14일에 우주 탐사선 보이저 1호는 지구로부터 약 60억 킬로미터 떨어진 거리까지 도달했다. 보이저 1호는 장대한 여행을 하고 있었으며, 지구를 포함한 태양계의 행성을 뒤로하고, 태양계를 벗어나 우주를 향해 지구로부터 점점 더 멀어져 가고 있었다. 이제 보이저 1호는 딱 한 번 어떤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소중한 연료만 남아 있었다. 그날 우주 비행 관제관은 어떤 지령을 내렸을까?

 

보이저 1호

 

저명한 천문학자인 칼 세이건은 마지막으로 보이저 1호의 위치를 바꾸어 지구를 향하도록 관제관을 설득하였다. 보이저 1호는 빛의 속도로 6시간 걸려 도착한 지령을 충실히 실행하였다. 보이저 1호가 지구를 향해 방향을 바꾸자, 보이저 1호의 소형 카메라 앞에는 태양계 전체가 펼쳐졌다. 이 카메라야말로 13년 이상 임무를 수행하면서 지구인은 아무도 모르는 우주를 계속해서 찍어 왔다. 보이저 1호는 관측할 수 있는 모든 행성의 사진을 하나씩 천천히 촬영하였고, 그것을 3개월에 걸쳐 지구로 보냈다. 그중에는 강렬한 인상을 주는 사진이 하나 있었다.

 

PIA23645-Earth-PaleBlueDot-6Bkm-Voyager1-orig19900214-upd20200212.jpg

 

그것은 바로 지구라는 행성의 모습이었다. 이 행성은 불쌍할 정도로 너무 작았고, 보이저 1호의 기체에 반사하는 햇빛을 받아서, 그 뒤에 빛나는 수천 개의 별 속에 묻힌, 화소 한 개에도 못 미치는, 아주 작은 창백한 푸른 점이었다. 이 사진은 너무나 겸손했지만, 오히려 아주 감동적이었다. 모든 인류의 미래도, 꿈도, 희망도 모두가 이 한 점에 응축된 것이었다.

 

창백한 푸른 점의 이미지는 다른 어떤 것의 정점도 보여주었다. 그것은 바로 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게 한 과학이다. 이미 보이저 1호 자체가 2천 년의 역사를 가진 과학의 산물이었다. 보이저 1호의 골조를 덮은 포일은 재료 과학이 만들어 낸 것이고, 로켓 연료의 폭발 연소를 제어하여 우주 공간을 비행할 수 있는 것은 에너지 연구의 결과이다. 태양계 행성의 특별한 배치를 이용하여 행성에서 다음 행성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찾은 것은 바로 수학이었다. 그리고 신세계를 관측해 귀중한 기록을 지구로 보내는 전자장치를 만들어 낸 것은 바로 양자물리학이었다.

 

게다가 이 작은 우주선에는 먼 장래에 지구 밖의 생명체를 만났을 때 필요한 특별한 물건이 실려 있었다. 그것은 음성과 이미지를 기록한 특수한 레코드로, 화학이나 수학의 정의, 해부학, 지질학 등 인류가 오랜 노력의 결과인 과학적 성과를 요약한 사진을 수록한 금도금 구리 디스크였다. 또한, 지구에서 생활 풍경을 소개하는 사진이나, 55개 국어로 표현한 인사, 베토벤의 교향곡 제5번 등이 수록되었다.

 

The Sounds of Earth - GPN-2000-001976.jpg

 

 

※ 칼 에드워드 세이건(Carl Edward Sagan, 1934년 11월 9일 ~ 1996년 12월 20일)은 미국의 천문학자, 천체물리학자, 천체화학자, 작가이자 천문학, 천체물리학, 그외 자연과학들을 대중화하는 데 힘쓴 운동가이다. 세이건은 외계생물학의 선구자였으며 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 계획의 후원자였고 미국 항공우주국의 자문위원으로도 참가했다.

 

재료 과학: 전기 공학 또는 기계 공학 따위의 분야에 쓰이는 금속ㆍ비금속 재료를 물리학, 화학, 야금학 따위의 방법으로 연구하는 학문

 

에너지(Energy): 기본적인 물리량의 하나. 물체나 물체들이 가지고 있는 일을 하는 능력을 통틀어 이르는 말

 

양자물리학: 입자 및 입자 집단을 다루는 현대 물리학

 

 

[과학] 과학은 연구 성과를 실천하는 사회의 일부

지금도 보이저 1호는 지구에서 170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 있으며, 성간 공간의 암흑을 뚫고 나아가, 인류가 쌓아 온 과학 지식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우리는 무엇인가?’,‘

sidedesk.tistory.com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