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관(2)
-
우주로켓의 구조 설계
1) 내하 능력우주로켓의 구조를 설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로켓 기체가 받는 모든 하중에 구조물로써 하중을 견디는 동시에 경량화를 최대한 추구하는 데 있다. 우주로켓은 지상의 운송, 발사 준비 및 비행 사이에 다양한 하중(외력)을 받는다. 특히 비행 중인 로켓 기체는 추진제 탱크의 내압 하중, 엔진 추력이나 공력의 기체 축 방향 압축 하중과 굽힘하중, 추가로 동적 하중 등 많은 어려운 하중을 받는다. 로켓의 구조물은 이러한 하중을 받아도 원래 기능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것, 바로 ‘하중에 견디는 능력’이 필요하다. ‘하중에 견디는 능력’이란 구조물 및 재료가 최대 하중을 받아도 ‘항복’이나 ‘파괴’가 발생하지 않는 강도를 가진 것이나 과도한 ‘해로운 탄성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항복이란 ..
2024.05.14 -
고체로켓의 연소관
1) 연소관의 재료연소관은 고체 추진제의 저장 용기인 동시에 연소실이다. 연소관은 연소압력으로 발생한 하중을 견디는 압력 용기인 동시에 추력을 코어 기체나 상단에 전달한다. 연소관의 재료는 높은 비강도(인장 강도/비중)와 높은 강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고장력강이나 티타늄 합금 등의 금속 재료를 주로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무게를 줄이려고 복합재료를 많이 사용한다. 금속 재료는 복합재료와 비교하여 고온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연소관의 단열재 두께가 얇다. 집중 하중이 발생하는 부분은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대형 고체로켓의 연소관은 가공성이나 비용을 고려하여 고장력강이 많이 사용되었다. 티타늄 합금은 비강도 및 내열, 내식성이 우수하지만, 가공이 어렵고, 소재가 비싸므로 구조 성능이 까다로..
2024.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