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6)
-
[그리스] 아무도 가지 않는 곳, War Museum Athens
그리스 여행에서 전쟁박물관을 가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그리스도 고대부터 현대까지 수많은 전쟁을 겪었다. 아테네 전쟁 박물관: 역사의 숨결을 느끼다 아테네의 중심부에 위치한 전쟁 박물관은 그리스의 풍부한 군사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다. 박물관에 들어서면, 마치 시간 여행을 하는 듯한 기분이 들지도 모른다.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리스의 군사적 유산이 생생하게 전시되어 있다. 역사를 배경으로 하는 박물관에 가려면 우선 지도와 역사를 이해해야 더 많은 걸 느낄 수 있다. 지도 한 장을 들고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고, 역사 책을 이리 저리 읽어 보고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리라.고대 그리스의 영광 박물관의 첫 번째 전시실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전쟁사와 관련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특히,..
2024.07.12 -
[수학] 그리스 알파벳 숫자 체계
기원전 5세기경, 이오니아의 그리스인도 암호화된 숫자 체계를 개발했지만 외워야 할 기호는 훨씬 더 많았다. 그리스인은 일반 그리스 알파벳의 24개 문자를 사용하여 숫자를 암호화하고, 여기에 페니키아 문자의 세 글자(6은 디감마, 90은 코파, 900은 삼피)를 추가했다. 그 결과 27개의 문자가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 처음 9개 글자는 1부터 9까지의 숫자를, 다음 9개 글자는 10의 처음 9개의 정수 배수를, 마지막 9개 글자는 100의 처음 9개의 정수 배수에 사용되었다. 다음 표는 알파벳 문자(특수 형태 포함)를 숫자로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오니아 체계는 여전히 덧셈형 체계였기 때문에 1에서 999 사이의 모든 숫자는 최대 세 개의 기호로 표현할 수 있었다. 원리는 다음과 같다.$$ \ps..
2024.06.03 -
[공학] 중세 시대의 동력 혁명
린 화이트는 지금은 고전이 된 ‘중세의 기술과 발명’이라는 글을 마무리하면서 ‘중세 후기의 가장 큰 영광은 대성당이나 서사시, 스콜라주의가 아니라 땀 흘리는 노예나 쿨리 같은 인간이 아닌 동력에 기초한 복잡한 문명을 역사상 처음으로 구축한 것’이라고 썼다. 중세의 동력 혁명은 역사상 가장 극적이고 중요한 발전 중 하나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로마 제국의 쇠퇴 이후 몇 세기 동안 서양에서는 암흑기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사람이 그 시대에 성직자 외에는 사람들의 일상생활 개선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 없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동시대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신의 지식을 성공적으로 응용한 엔지니어들이 있었다. 그들도 오래도록 중요한 발명품을 만들었다. 로마의 장벽이 약해지면서 유목민들이 서유럽을 휩쓸었기 ..
2024.05.21 -
[공학]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과 건설 공학
파르테논 신전의 크기는 피라미드처럼 웅장한 규모로 계획된 것이 아니다. 파르테논 신전의 엔지니어들은 간단한 수학적 원리를 사용하여 원하는 형태를 얻었지만, 그 이후부터는 예술가의 안목이 주도권을 잡았다. 그들의 원칙을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은 매우 미묘하게 피했기 때문에 정확한 수학적 비율을 말할 수는 없다. 파르테논 신전의 기둥은 이전보다 아주 약간 가늘어 졌지만 페디먼트(pediment)가 기둥을 짓누르는 것처럼 보이지 않고, 미노아 궁전의 기둥처럼 낮고 뚱뚱한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파르테논 신전으로 이어지는 넓은 계단은 수평이 아니라 중앙으로 올라가는 거대한 수직 곡선이다. 캠버(camber)는 실제로 수평인 계단이 건물의 무게로 중앙이 처지는 착시 현상을 극복한다. 건축가가 그런 식으로 계획한 것..
2024.04.21 -
[공학] 문화의 꽃을 피운 그리스 공학
기원전 3000년 이전 어느 때. 최초의 정착민들은 구석기 시대에 사람이 별로 없었던 그리스에 도착했다. 고든 차일드(Gordon Childe)는 그의 저서인 ≪유럽의 선사시대 이주(Prehistoric Migrations in Europe)≫에서 이 초기 그리스 세스클로(Greek Sesklo) 문화는 실제로 그 후손들이 그랬던 것처럼 동쪽에서 왔다고 한다. 이 민족은 위대한 능력을 갖췄고, 그 후로 세계를 놀라게 한 문화의 꽃을 피웠다. 그리스인이 처음 등장했을 때 그들의 삶은 농경 생활이었다. 그들이 땅에 정착하면서 그들의 사회 조직은 부유층과 빈곤층, 귀족과 하층민으로 구성된 복잡한 체계가 되었다. 그들이 땅을 차지하고 그 위에 세운 제도는 특별한 것이 없었지만, 호메로스가 그들을 불멸의 서사..
2024.04.19 -
[공학] 고대 미케네 문명의 둥근 아치
동시에 북쪽 본토의 한 도시는 덜 화려하지만, 크레타와 이집트를 그리스, 에게해 섬, 소아시아 문명과 연결하는 문화의 중심지가 되어가고 있었다. 아가멤논이 트로이 전쟁에 나섰던 요새인 미케네는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펠로폰네소스 산맥의 높은 곳에 자리를 잡고 있었는데, 아마도 트로이에서 온 여행자, 페니키아에서 온 해적, 크레타섬의 해상 침입자들과 빈번하고 원치 않는 접촉을 피하기 위한 목적이었을 것이다. 트로이아 (튀르키예의 트로아스 평야 히사를리크 언덕) 미케네의 건축가는 이집트인과 마찬가지로 잭이나 도르래 없이 거대한 벽돌을 다루었던 것 같다. 기원전 1300년 이전에 세워진 유명한 사자문(Lion Gate)에는 크기가 15×7×3½ 피트이고, 무게가 거의 30톤에 달하는 상인방이 있다. 높이가 10..
2024.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