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형률(2)
-
[Abaqus] 연성 금속 재료의 소성 특성
다음 그림과 같이 대부분 금속 재료는 변형률이 작을 때 거의 선형 탄성 거동이며, 영률 또는 탄성률이라고도 하는 재료의 강성은 일정하다. 다음 그림과 같이 응력 및 변형률이 높아지면 금속 재료는 비선형 비탄성 거동을 하기 시작한다. 이것은 소성이라고 한다.* 소성 (塑性) : 고체에 외력을 가하여 탄성 한계 이상으로 변형시켰을 때, 외력을 빼어도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지 않는 성질 1) 연성 금속 재료의 소성 특성재료의 소성 거동은 항복점과 항복 후 경화로 설명할 수 있다. 다음 그림과 같이 탄성이 소성으로 변하는 것은 탄성 한계 또는 항복점이라고 하는 재료의 응력-변형률 곡선상의 특정 지점에서 발생한다. 항복점의 응력을 항복 응력이라고 한다. 대부분 금속 재료에서 초기 항복 응력은 재료 탄성률의 0.05..
2024.05.31 -
[CEA] 변형률이란 무엇인가?
원래 길이에 대한 물체의 한 요소에서 크기의 변화를 단위 변형률(unit strain) 또는 간단히 변형률(ϵ)이라고 한다. 이 값은 단축 하중을 받는 길이(l)인 봉의 전체 신장(total elongation) 또는 총변형량(δ1)과 관련이 있다.
2024.05.09 순수한 전단을 받는 응력 요소에서 90°로부터 모서리각의 변화량을 전단 변형률(γ)이라고 한다. 작용했던 하중을 제거하면 재료를 원래의 형상 치수로 복원시키고자 하는 두 가지 고유한 탄성 성질이 있다. 이 성질의 크기를 각각 재료의 탄성계수(modulus of elasticity, E)또는 영률(Young’s modulus)과 전..ϵ=δ1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