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페르니쿠스(3)
-
[공학] 권위주의자는 지성이 아니라 기억력만 이용한다
베네치아의 자랑은 눈부신 공학이었지만, 가장 유명한 엔지니어는 피렌체에 있었다. 1452년에 태어난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화가, 조각가, 철학자, 과학자, 군사 또는 토목 기술자 등 르네상스 시대의 가장 다재다능한 인물로 성장했다. 그의 어머니는 유아기 이후 거의 알지 못했던 농부였다. 피렌체의 부유한 공증인이었던 그의 아버지 피에로는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에게 그의 이름과 초기 미술 교육을 받았다. 그는 곧 스승보다 더 뛰어난 실력을 갖추게 된다. 거꾸로 글씨를 쓸 정도로 완벽한 왼손잡이였던 그는 오늘날 아이들의 지적 발달에 장애가 되는 거울 글씨를 만들어 냈다. 하지만 그것은 레오나르도의 천재성에 전혀 방해가 되지 않았고 오히려 도움이 되었을 수도 있다. 글의 여백을 따라 스케치한 것을 보면 그의 손은 ..
2024.06.06 -
[과학] 갈릴레오와 종교재판
교회와 충돌, 이단 재판, 투옥 등 갈릴레오가 말년에 겪었던 사건은 과학사의 전환점으로 자주 언급되지만, 실제로 결코 단순한 사건이 아니었다. 궁극적으로 ‘이단’의 문제가 아니라 ‘권위’에 관한 문제였다. 그 이유는 갈릴레오가 교회의 영역을 침범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갈릴레오는 망원경으로 관측하면서 점점 더 코페르니쿠스의 가설에 자신감을 가졌고, 목성 위성과 평평하지 않은 달 표면도 직접 눈으로 관측했다.갈릴레오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다양한 모양을 보이며, 지구 앞을 통과할 때 점점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금성의 모습도 관측했다. 이러한 발견은 처음에는 아무런 해석도 추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단순한 객관적인 관측 결과로 받아들여졌다. 그래서 1611년 갈릴레오의 강의를 듣고 만족한 교황은 피렌체의 그..
2024.04.05 -
[과학] 폴란드의 수도사, 코페르니쿠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읽은 것이며, 폴란드어로는 니콜라이 코페르니쿠스라고 한다. 니콜라우스로 알려진 것은 당시 지성인이 주로 라틴어로 읽었기 때문이다. 그는 폴란드 바르미아(Warmia)라는 곳에서 교회령의 관리직을 평생 맡고 있었다. 16세기로 접어들 무렵 코페르니쿠스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타르코스가 주창한 태양 중심의 우주관을 접하게 되었다. 그는 이탈리아 파도바 대학에 다닐 때 라틴어와 그리스어 문헌을 통해 이 개념을 알게 되었는데, 이 개념은 아주 새로운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이전에 그리스는 물론 아라비아와 인도에서도 논란이 많았던 개념이었다. 코페르니쿠스는 고대 그리스의 정통 우주관과 비교하면 굉장히 우아하다고 생각했다. 보통 알고 있는 것과 달리, 코페르니쿠스의..
2024.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