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M(4)
-
[공장] 기술 지원용 정보시스템
PDM이란 기술 정보 관리시스템으로 설계 개발 업무에서 제품에 관한 모든 정보(도면, 문서, 명세서, 취급 설명서 등)를 정합성 있는 형태로 일원 관리하는 구조이며, 최근에 PLM으로 확장되었다. PLM은 제품 기획 단계부터 개발, 생산, 판매, 유지보수, 폐기에 이르기까지 모든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걸쳐 제품의 수익을 관리하는 개념이다. PLM은 PDM을 중심으로 ERP의 각 서버 시스템과 제품에 관련된 모든 정보인 제품 구성, 기술 정보, 프로젝트 관리, 재고, 비용 정보, 매출 등을 공유한다. 그 외 다른 시스템도 제휴한다. 우선 CRM에서 고객의 요구를 입수하고 재빨리 설계에 도입하여 Time to Market의 시간 단축을 실현한다. 또한 MES와 인터페이스도 양방향이며, 공정 정보를 제공하고, ..
2024.05.10 -
[공장] 고객의 이의 제기 대응
고객의 이의 제기(클레임, Claim)는 제품이 약속한 사양이나 품질을 충족시키지 못했거나 고객의 기대를 저버렸을 때 발생한다. 클레임 대응을 잘못하면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고, 때에 따라 소송을 당하거나 매스컴이나 소비자 단체에 배상할 수도 있다. 최악의 경우 그 제품뿐만 아니라 기업까지 시장에서 도태될 수 있다. '굿맨의 법칙'에 따르면 불만을 접수한 고객 중 신속한 대응에 만족한 사람의 80%가 신뢰를 회복하고 재구매한다. 영국 항공의 조사에 따르면 ‘비행기를 타고 만족한 고객은 5~6명에게 전달하고, 서비스가 좋지 않아 불만을 느낀 고객은 10명에게 전달한다’라고 한다. 즉, 두 배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므로, 이에 따라 회사는 더욱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을 목표로 한다. 제조 회사는 수많은 ..
2024.05.09 -
[공장] 원가 개선 활동의 내용
원가 기획은 신제품 개발 기획부터 시장에 내놓는 기간 동안 품질과 원가를 확실하게 하는 활동이다. 이 시기에 어떤 제품의 원가를 개선할 모든 기회 중 70~80%를 차지한다. 구체적으로 우선 제품 구조를 얼마나 단순한 모듈로 설계할 것인 지, 불필요한 신규 설계를 피하고, 부품을 공통으로 사용할 것인지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한다. 다음은 생산성 검토라고 하는 활동으로 개발 초기부터 설계 부문과 제조 부문이 공동으로 각각의 전문성을 살려 어떻게 하면 좋은 물건을 싸게 조달할 수 있는지, 보다 만들기 쉬운 구조가 되는지, 지금 있는 생산기술을 활용할 수 없는지 등을 검토한다. 이 시기부터 전문 부품업체를 끌어들여 검토할 수 있다. 이런 활동은 기업의 여러 부서의 구성원이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수행하므로 하나의 ..
2024.05.09 -
[공장] PLM 제품 관리
제품 수명이 짧은 요즘 제품 수명주기 관리가 중요하다. PC나 휴대전화처럼 제품의 변화가 빨라지면서 수명주기는 짧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기업이 살아남으려면 고객의 요구를 만족하는 제품을 단기간에 잇달아 시장에 투입해야 한다. 어떤 경쟁 기업보다 빨리 수요를 만족하는 신제품을 시장에 공급할 수 있으면 그만큼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그 핵심을 이루는 개발과 설계 현황을 보면, 시장에 투입하는 신제품이 증가하고, 수명주기가 짧아지면서 업무 부하가 증가하고 있으며, 하나의 아이템에 그다지 많은 시간을 쓸 수 없어서 설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나 비용 손실이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양산으로 이행이 늦어지고, 제품 원가도 상승하여 이익이 오르지 않으며, 현재는 수익성이 높은 제품을..
2024.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