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6. 3. 12:08ㆍ수학/수학사
우리가 알고 있듯이 역사 기록은 그리스의 발명품이며, 초기 그리스 역사가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은 헤로도토스이다. 헤로도토스(기원전 485~430년경)는 소아시아 남서쪽 해안의 그리스인 정착촌인 할리카르나소스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고향에서 정치적 문제에 연루되어 사모스(Samos)섬으로 유배되었다가 아테네로 망명해야 했다. 거기서부터 여유로운 성격을 가진 헤로도토스는 수년에 걸쳐 광범위한 지역에 여행을 떠났다. 그는 아마도 상인으로서 자료를 수집하고, 자신의 인상을 기록하기 위해 세 가지 주요 여행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흑해에서는 서해안을 따라 현재 우크라이나의 드네프르강 하구에 있는 그리스 공동체까지 항해한 다음 남해안을 따라 코카서스 산기슭까지 항해했다. 소아시아에서는 현대 시리아와 이라크를 횡단하여 유프라테스강을 따라 바빌론까지 여행했다. 이집트에서는 나일강 삼각주에서 아스완 근처까지 나일강을 거슬러 올라가 피라미드를 탐험했다. 기원전 443년경 헤로도토스는 아테네의 후원으로 새로 개척된 식민지 이탈리아 남부의 투리움(Thurium)의 시민이 되었다. 투리움에서 그는 생애의 마지막 몇 년을 그 이전의 어떤 그리스 산문 작품보다 더 큰 책인 《헤로도토스 역사》를 마무리하는 데 거의 전념한 것으로 보인다. 역사가로서 헤로도토스의 명성은 그가 살던 시대에도 높았다. 책이 많지 않았던 당시에는 다른 문학 작품과 마찬가지로 역사도 공적, 사적 모임에서 큰 소리로 읽히는 것이 당연했다. 헤로도토스는 죽기 약 20년 전 아테네에서 청중 앞에서 완성된 《역사》의 일부를 낭독했고, 그 공로를 인정받아 전례 없이 거액의 공금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페르시아 전쟁에 관한 이야기가 《헤로도토스 역사》의 연결고리를 제공하지만, 이 작품은 단순히 세심하게 기록된 사건의 연대기가 아니다. 헤로도토스는 사람들과 관련된 것은 거의 모두 관심을 가졌고, 그의 《역사》는 일상생활의 모든 세부 사항에 대한 방대한 정보 저장소이다. 그는 동포들에게 알려진 세계, 다양한 민족, 그들의 땅과 도시, 그들이 무엇을 했는지, 무엇보다도 왜 그렇게 했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그림을 제시하려고 노력했다. (현대 역사가라면 《역사》를 역사서라기보다는 유용한 사회학적, 인류학적 데이터를 담은 안내서로 묘사할 것이다) 헤로도토스가 생각한 역사서의 목적은 자신이 들은 것을 모두 말하되 모두 다 사실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내 임무는 사람들이 말하는 것을 보도하는 것이지 그것을 모두 믿는 것이 아니며, 이 원칙은 내 작업 전체에 적용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따라서 그는 어떤 사건에 대한 전통적인 설명을 제공한 다음 자신의 해석이나 다른 출처의 모순된 해석을 제시하여 독자가 두 가지 버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한 가지 분명한 점은 헤로도토스가 당시의 세계 상황을 과거의 변화로 해석하고 그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는 점이다. 헤로도토스는 이러한 시도를 통해 이전의 어떤 산문 작가도 아닌 "역사의 아버지"라는 명예로운 칭호를 얻게 되었다.
헤로도토스는 자신이 만난 다른 어떤 사람들보다 이집트인에 대해 더 열광했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집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는 데 많은 공을 들였다. 대부분의 이집트 방문객과 마찬가지로 그는 나일강을 따라 펼쳐진 기후와 지형의 예외적인 특성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다. "이집트에 대해 한마디도 들어보지 못한 채 이집트를 본 사람은 이집트가 강이 선물한 후천적인 나라인 것을 인식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흔히 ‘이집트는 나일강의 선물’이라고 의역되는 이 유명한 구절은 이집트에 대한 위대한 지리적 사실을 적절하게 요약하고 있다. 태양이 내리쬐고 비가 많이 내리는 기후에서 나일강은 매년 정기적으로 동아프리카 고원에서 흘러내린 풍부한 토사를 강둑에 퇴적시켰다. 강물의 끝에는 농작물과 동물의 목초지를 위한 비옥한 밭이 있었고, 그 너머에는 사방으로 황량한 사막 지대가 펼쳐져 있었다. 이집트 문명으로 알려진 문맹률이 낮고 복잡한 사회가 발전한 배경이 바로 이곳이었다.
세계에서 가장 초기의 문화 중 하나의 출현은 본질적으로 정치적 행위였다. 기원전 3500년에서 3100년 사이에, 나일강에 접해 있는 땅에서 자급자족하던 농업 공동체는 점차 더 큰 단위로 통합되어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두 왕국만 존재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기원전 3100년경, 이 지역들은 오랜 파라오의 계보를 잇기 위해 역사에 등장한 메네스(Menes)라는 통치자가 남쪽에서 군사 정복을 통해 통합되었다. 이집트를 고립시킨 사막 덕분에 외부의 침략으로부터 보호받은 이집트는 고대 문명 중 가장 안정적이고 가장 오래 지속된 문명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그리스와 로마가 세기 단위로 패권을 계산했다면 이집트는 천년 단위로 계산했다. 메네스에 의한 상왕국과 하왕국의 통합부터 기원전 31년 클레오파트라와의 만남까지 32개의 왕조가 질서 있게 계승되었고, 고대 이집트가 정점을 찍은 지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나폴레옹은 과거의 영광으로 지친 참전용사들을 격려할 수 있었다. 그는 기자의 대피라미드 그늘에 서서 "병사들아, 40세기가 너희를 내려다보고 있다!"라고 외쳤다.
'수학 > 수학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 이집트 신관문자 계산법 (0) | 2024.06.03 |
---|---|
[수학] 상형문자로 숫자를 표현하기 (1) | 2024.06.03 |
[수학] 전체주의로부터 탈출한 수학 천재들 (0) | 2024.05.20 |
[수학] 컴퓨터의 발전에 공헌한 현대의 여성수학자들 (0) | 2024.05.20 |
[수학] 페루 잉카인의 퀴푸스 (1) | 2024.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