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사(14)
-
[과학] 우연한 기회도 준비한 사람에게만 찾아온다
과학도 인생에서 벌어지는 다른 일들과 마찬가지로, 누군가 압박하고, 무엇인가 궁금해하면서 발전한다. 성공과 실패의 반복인 것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과학의 역사에서 순전히 우연의 역할도 매우 크다. 세균학의 아버지이자 의 공동 개발자로 알려진 루이 파스퇴르는 ‘우연한 기회도 준비한 사람에게만 찾아온다’라는 유명한 말을 했다. 이 말은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장소에 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우연만으로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바로 이 말의 요점이다. 알렉산더 플레밍이 우연히 무언가 발견한 것은 유명한 사례 중 하나이다. 1928년 플레밍은 세균을 접시에 배양한 채로 휴가를 떠났다. 그사이 플레밍의 동료가 다른 곳에서 연구하던 곰팡이 포자를 플레밍의 실험실로 가져와서 곰팡이 포자가 배양 접시에 들어가 버렸다..
2024.03.26 -
[과학] 과학자의 욕망으로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다.
대부분의 사회 각계각층에서 그렇듯, 재정적 압박은 과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갈릴레오가 망원경을 이용해 하늘을 관측한 것은 금전적인 문제 때문이었다. 갈릴레오가 이 놀라운 발명품의 소문을 처음 들었을 때, 그는 자신이 그 발명품을 만들어 보려고 그토록 열심이었다. 그 이유는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이었는데, 당시 중년의 수학 교수였던 갈릴레오는 명성과 부를 갈망하고 있었다. 그는 망원경이 발명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17세기의 재산가였던 새 후원자에게 좋은 인상을 줄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갈릴레오 자신도 그 망원경을 사용하여 '우주의 과학'을 바꾸게 될 것이라고는 전혀 상상하지 못했다. 새로운 기술의 등장으로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것들을 갑자기 측정하고 관찰할 수 있게 된 과학 분야..
202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