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6)
-
[이집트] 문명의 시작, 기자 피라미드
기자의 피라미드(Giza pyramid complex)는 이집트 기자 평원에 자리한 피라미드이다. 기자의 대피라미드, 카프레의 피라미드, 멘카우레의 피라미드의 3대 피라미드를 비롯하여 그에 딸린 소규모 피라미드가 있다. 고대 이집트의 고왕국 제4왕조 대에 지어졌다. 기자 시 나일강에서 약 9km 떨어진 서부 사막지대 끝자락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집트의 수도 카이로에서는 남서쪽으로 13km 떨어진 위치에 있다. 대피라미드와 카프레 피라미드는 고대 이집트 시대에 지어진 피라미드 중에서 가장 큰 규모로, 그 장대하고 인상적인 외관 덕에 서양에서 이집트 하면 흔히 떠올리는 상징물이 되었다. 고대 세계의 불가사의 중에서 그 건설 연대가 제일 오래되었고, 오늘날까지도 현존하는 유일한 불가사의이기도 하다.
2024.06.04 -
[수학] 이집트 신관문자 계산법
글쓰기는 돌이나 금속에 새겨진 비문에 국한되어 있어서 그 범위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짧은 기록으로 제한되었다. 따라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저렴하게 쓸 수 있는 재료가 필요했다. 이집트인들은 파피루스의 발명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파피루스는 나일강 삼각주 습지에 풍부했던 갈대와 같은 파피루스 식물의 줄기를 세로로 얇게 잘라서 만들었다. 이 조각들을 판 위에 나란히 놓아 한 장의 시트를 만들고, 첫 번째 층에 직각으로 다른 층을 추가했다. 이것을 모두 물에 담그고 망치로 두드려서 햇볕에 말리면 식물의 천연 껌이 단면을 서로 붙였다. 그런 다음 조개껍데기로 글을 쓰는 표면을 매끄럽게 긁어내어 완성된 시트(보통 폭 10~18인치)가 거친 갈색 종이와 비슷해지면 이집트인들은 이 시트의 가장자리를 겹쳐 붙여서..
2024.06.03 -
[수학] 상형문자로 숫자를 표현하기
단일 지도자 아래 이집트의 통일이 이루어지자마자 강력하고 광범위한 행정 시스템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인구를 조사하고, 세금을 부과하고, 군대를 유지해야 하는 등 비교적 많은 수의 인구를 계산해야 했다. (제2왕조의 해 중 하나는 남북의 모든 크고 작은 소의 수를 세는 해로 명명되었다). 기원전 3500년에 이미 이집트인들은 수시로 새로운 기호를 도입하는 것만으로 계산을 무한정 지속할 수 있는 완전한 숫자 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이는 현재 옥스퍼드 대학교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고대 세계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유물 중 하나인 나르메르 왕의 메이스헤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왕조 시대 초기에 나르메르(일부 학자들은 통일 이집트 국가의 초대 통치자였던 전설적인 메네스로 추정)는 서부 델타에서 반란을 일으킨 ..
2024.06.03 -
고대 이집트의 관개 시설과 수에즈 운하
메소포타미아와 마찬가지로 이집트도 자연이 적절한 물을 항상 꾸준하게 제공할 수는 없었다. 게다가 나일강 계곡은 너무 좁아서 많은 인구가 살 수 없었고, 고대 이집트는 지금과 마찬가지로 인접한 땅에 추가적인 관개 시설을 하지 않으면 그곳에 모인 사람들을 먹여 살릴 수 없었다. 오늘날 사용하는 관개 시설은 대부분 수천 년 동안 지속해서 사용하였다. 영국 엔지니어들이 일부를 확장하고 개선했지만, 여전히 현대 설비와 나란히 작동하고 있는 나일강에서 관개 시설로 물을 끌어올리는 가장 원시적인 종류의 도르레와 수많은 양동이를 발견할 수 있다. 이집트 나일강 역사상 주목할 만한 간척 사업 중 하나가 기원전 2000년부터 기원전 1788년까지 테베 왕조 시대에 계획되어 완료되었다. 이 왕조는 피라미드 건설자의 옛 제국..
2024.04.16 -
[공학] 고대 이집트인의 공학 기술
나일강 유역에 정착한 이집트 농업인은 자신의 수확을 글로 기록하기 전에 이미 수 세기 동안 나일강의 비옥한 계곡에 건물을 짓고 있었다. 하지만 이집트 문명의 흥망성쇠와 쇠퇴는 기원전 4000년부터 시작하였다. 이집트는 오랜 내부 투쟁 끝에 국가가 통일됐다. 이 지역의 안전이 점점 확립되면서 부와 인구가 계속 증가했다. 수많은 전쟁을 거치면서 외국의 적들은 흡수되거나 정복되어 노예로 전락했다. 이제 이집트는 천천히 왕국에서 제국으로 옮겨갔다. 그 느린 과정에서 첫 번째 중요한 단계는 대략 기원전 2700년에서 2200년 사이에 건설된 피라미드(pyramid)로 나타난다. 그리고 기원전 2000년부터 기원전 1800년까지 제12왕조의 관개 사업은 사회 발전의 두 번째 단계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룩소르(Lox..
2024.04.14 -
[공학] 식량 생산 혁명과 최초의 엔지니어링
기원전 6000년 이전 사람의 주된 직업은 음식을 구하는 일이었다. 그들은 들판과 숲에서 동물을 사냥했고, 호수와 냇가에서 물고기를 잡았으며, 먹을 수 있는 식물은 어디에서나 채집했다. 그들에게는 음식이나 옷을 줄 식물이나 기르는 동물이 하나도 없었다. 많은 가족과 부족은 식량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따라가는 유목 생활을 했으며, 대부분은 움막과 같은 허술한 집에 살았다. 인구는 거의 없어서 마을이라고 부를 수 있는 주거 집단이 없었다. 이때에는 공학은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했다. 아마도 인간은 기원전 6000년경에 아프리카와 소아시아에 있었을 것이다. 인간은 인류 역사상 중요한 발전 중 하나를 시작했다. 그들은 동물을 길들이고, 식물을 키우기 시작했으며, 특히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 나일강 주변에 ..
202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