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플러(6)
-
[과학] 케플러 법칙에 관하여...
지구 중심 우주관의 가장 큰 난점은 바로 화성의 운동이었다. 만약 화성이 지구 주위를 공전한다면, 그 운동이 빨라지거나 느려지거나 심지어 역행하는 것은 도대체 무엇인가? 수학에 자신이 있었던 케플러는 1주일 안에 화성의 궤도를 그리려고 했지만 실제로는 몇 년이나 걸렸다. 하지만 그 덕분에 케플러는 행성 연동의 진정한 비밀에 다가갈 수 있었다. 올바른 우주관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케플러는 코페르니쿠스 우주관의 복잡성을 하나하나 검증해 나갔다. 바꿔 말하면, 행성의 궤도가 태양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다는 것, 행성의 속도가 균일하다는 것, 주회 궤도의 기본 형태가 어떻다는 것이었다. 이 마지막 관점의 변화는 매우 중요했다. 첫째, 그는 달걀 모양의 궤도를 생각했지만, 관측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그런 다음 ..
2024.04.05 -
[과학] 루터의 95개 조항
종교개혁은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의 수도사로 독일의 비텐베르크 대학 교수이기도 한 마르틴 루터가 시작하였고, 루터와 북유럽 국가의 사람은 가톨릭교회의 타락에 대한 비판을 점점 강화했다. 그들이 특히 문제 삼은 것은 면죄부의 판매였다. 면죄부란 속죄의 면제 또는 경감을 인정한 증서이다. 16세기가 되자 그것은 장사의 대상이 되었고, ‘면죄부 판매’도 나타났으며, 속죄의 경감이나 연옥에서 유예되거나, 지옥에서 해방되는 것을 약속한 증서를 상당한 대가를 받고 팔았다. 특히 16세기 초, 교황 레오 10세는 성 베드로 대성당을 수리하려고 면죄부 발행을 더 늘렸다. 이것은 아마 루터가 행동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 1517년 그는 유명한 95개 조항의 논제인 《면죄부의 의의와 효과에 관한 견해..
2024.04.05 -
[과학] 어울리지 않는 두 사람의 만남
그때까지는 별개였던 세 개의 흐름이 프라하에서 합류하여 큰 강이 되었다. 그 계기를 만든 것은 종교개혁과 왕궁의 존재였다. 인쇄 기술의 발명과 관측 장비의 발전도 크게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이 거대한 흐름은 우리가 대대로 물려받은 고전적인 생각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 거대한 흐름의 실제 참여자는 상상도 하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때 그 자리에서 일어난 일은 지금까지 철석같이 믿고 있었던 우주관을 근본으로부터 뒤엎는 일이었다. 이제 ‘거기에 무엇이 있는가?’에 대한 해답이 준비되기 시작했다.1600년 2월, 케플러는 《천체의 회전에 대해》와 기하학적 우주관을 완성하려는 뜻을 가지고 프라하에 왔다. 베인 섬의 성주 브라헤는 점점 혼자의 생각대로 모든 일을 결정하고 행동하게 되었고, 새로운 조수인 케플러..
2024.04.05 -
[과학] 우주의 신비를 쓴 케플러
요하네스 케플러가 태양 중심의 우주관에 관심이 있었던 것은 순수한 학문적 이유 외에 신비주의를 믿었기 때문이다. 그는 우수한 수학자이자 점성술사였다. 당시에는 이 두 직업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고, 그 무렵의 점성술은 매우 중요한 직업이었다. 루돌프 2세 등 당시의 지도자는 태양이 가져오는 낮과 밤, 달의 모양이 변하는 시간, 계절의 변화 등이 인간의 운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그렇다면 다른 행성이나 별도 운명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다. 점성술은 당시에는 합리적인 사고 방식이었다. 그런데 점성술에는 행성 운행의 치밀한 계산과 미래 위치의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튀빙겐 대학을 졸업한 케플러는 오스트리아 그라츠에서 수학 교수로 일했다. 그러나 월급은 너무 적었고, 수학 지식을..
2024.04.05 -
[과학] 과학의 요람, 프라하성
16세기 유럽을 휩쓸었던 변혁의 기세는 무시무시하고 피비린내 나는 것이었다. 타락한 로마 교회에 대한 항거로 1517년에 시작된 종교개혁은 유럽의 신생 국가를 1세기에 걸쳐 혼란에 빠뜨렸다. 이 소란으로 그때까지 오랫동안 흔들리지 않았던 한 가지 생각이 흔들렸다. 그것은 바로 지구가 모든 세상의 중심에 있다는 생각이었다. 이때까지 대부분 우리가 사는 변함없는 대지, 이 지구가 하늘을 움직이고, 별과 행성, 그리고 생명과 빛을 가져다주는 태양과 달을 움직이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 세상의 만물은 모두 신이 우리 인간을 위해 준비한 것이었다. 이 해석이 교황에 의한 것이든, 루터교와 같은 《성경》 해석을 통한 것이든, 교회와 국가는 이 논리에 권위와 정통성을 부여하고 있었다. 그런데 16세기가 끝나가자, 혼란..
2024.03.29 -
[과학] 과학자의 욕망으로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다.
대부분의 사회 각계각층에서 그렇듯, 재정적 압박은 과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갈릴레오가 망원경을 이용해 하늘을 관측한 것은 금전적인 문제 때문이었다. 갈릴레오가 이 놀라운 발명품의 소문을 처음 들었을 때, 그는 자신이 그 발명품을 만들어 보려고 그토록 열심이었다. 그 이유는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이었는데, 당시 중년의 수학 교수였던 갈릴레오는 명성과 부를 갈망하고 있었다. 그는 망원경이 발명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17세기의 재산가였던 새 후원자에게 좋은 인상을 줄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갈릴레오 자신도 그 망원경을 사용하여 '우주의 과학'을 바꾸게 될 것이라고는 전혀 상상하지 못했다. 새로운 기술의 등장으로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것들을 갑자기 측정하고 관찰할 수 있게 된 과학 분야..
202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