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P(4)
-
[공장] 공정 정보화란 무엇인가?
정보기술(IT)은 컴퓨터로 데이터베이스와 통신 등 주변 기능을 포함한 관련 기술의 총칭이다. 공장은 어떻게 IT를 활용할 수 있을까? 예를 들어, 제조업에서 부품이나 소재의 수배에 MRP를 사용하는 공장은 단순하고 반복적인 많은 계산을 당연히 컴퓨터로 하고 있다. 또한 거래처와 정보 교환이나 재고 관리, 알기 쉬운 제조지시서도 컴퓨터로 작성한다. 정보화는 PC가 저렴해진 것은 물론, 네트워크를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 것도 큰 이유이다. 또한 공장에서 일하는 사람도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에 익숙해지고 있다. 하드웨어는 컴퓨터로 제어하는 생산 설비와 장치가 개발되었고, 많이 도입되었다. 예를 들면, 현재는 ISO 관련 서류의 전자화도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문서가 기존 종이와 도장을 대신하였고,..
2024.05.10 -
[공장] 생산 관리와 추적 관리는 무엇인가?
제품을 중심으로 관리하는 방법은 제품 특성이나 수주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MRP가 부품을 중심으로 관리하는 방법이지만, 제품 번호 관리는 제품을 중심으로 관리하는 방법이다. 부품표(제품 구성표)에서 말단의 품목부터 제품까지, 발주, 재고, 조립 등을 하나의 제품 번호로 묶어서 관리한다(개별 수주는 고객 오더와 제품 번호가 일대일 대응한다). 추적 번호 관리는 생산 1호기부터 순서대로 번호를 매기는 방법으로, 마지막 번호가 누계 생산량과 일치하며, 제조 번호도 거의 제품 번호와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추적 번호와 제조 번호도 때로는 한 대씩이 아니라 생산 로트마다 기재할 때도 있다. 제품에 따라 수주할 때 설계부터 개별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자력발전소 건설공사, 대형 여객선 건조, 고층빌딩..
2024.05.01 -
[공장] MRP(자재 소요량 계획)
MRP(자재 소요량 계획)는 제품의 기준 생산 계획을 바탕으로 부품이나 소재의 수배 정보를 계산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공장 전체에서 각 부품이 몇 개 필요한지 계산하고 나서 부품의 사용처를 고정하지 않고 재고를 관리하는 방식이다. 이 개념을 바탕으로 1960년대 미국 IBM사가 발표한 PICS(생산 관리 정보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으로 MRP가 소개된 다음 자재관리의 주요한 수법으로 빠르게 정착하였다. 이 시스템을 올바르게 운용하려면 우선 제품 수준의 생산 계획(MPS), 제품을 정의하는 정보(BOM)를 계층적으로 관리하는 부품표, 나아가 자재의 정확한 재고량 파악(재고 관리) 등의 전제가 필요하다. 모든 정보는 생산 관리에 없으면 안 되는 정보지만, 사실 이 모든 정보를 갖추고 MRP를 활용하는 공장은 ..
2024.04.26 -
[공장] 공장의 업무 순서, 제조지시서
어느 공장이나 좋은 제품을 저렴하고 빠르게 납품하는 것이 목적이다.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 설계하면 제품 정보를 공장에 전달한다. 이 정보는 기준정보라고 하며, 기준정보는 부품이나 제품에 관한 도면이나 제원을 포함한 품목표, 제품이 어떤 부품으로 구성되었는지 설명하는 부품표 등으로 구성된다. 생산기술부는 제품을 어떻게 만드는지 설명하는 공정표를 추가하여 생산을 준비한다. 영업부는 제품의 판매 예측을 바탕으로 판매 계획을 세우고, 영업부와 공장의 생산관리부는 판매 계획을 바탕으로 생산 계획을 세운다. 생산, 판매, 재고 계획은 생산 수개월 전에 작성하지만, 보통 1개월 또는 2개월 앞의 생산 계획을 확정해서 부품이나 인력 수배의 기초자료로 사용한다. 공장은 제품의 생산 계획 이외에도 제조에 필요한 기계설비..
2024.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