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프랑스 대혁명과 라부아지에

2025. 3. 6. 22:37과학/과학사

728x90

1789년은 파리 민중이 바스티유 감옥을 습격해서 프랑스 혁명이 시작되었다. 그해 라부아지에가 ≪화학원론을 출간했다. 이 책은 지금까지 라부아지에 연구의 집대성이자 이전의 연금술사로서 신비감을 전혀 느낄 수 없는 책이었다. 이 책에는 모든 화학물질의 성질을 나타내는 이름이 붙여져 있었다. 이 책은 현대 화학의 시작을 알리는 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라부아지에는 그 명성에 취해 있을 시간이 그리 많지 않았다.

라부아지에가 공부한 파리 4 국립대학교

당시 프랑스는 징세 청부제를 시행하고 있었다. 라부아지에의 생활과 연구는 징세 청부업자로서 받는 수입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었다. 오늘날에도 징세 청부업자는 미움의 대상이지만, 당시 징세 청부업자는 민중의 적이었다. 그리고 혁명 지도자 중 한 명이자 화학자였던 장 폴 마라의 원한을 사게 된다.

 

라부아지에는 해외에서 화제가 된 발견을 자신의 발견으로 발표한 사람이다. 자신에게는 단 하나의 아이디어도 없고, 모두 남의 아이디어를 도용한 것이다. 게다가 이러한 업적을 제대로 평가할 수 없어서 가볍게 버리거나 자기의 이론을 수시로 바꾸어 버린다.”

 

라부아지에는 세금 징수액을 속인 죄와 반혁명 활동 혐의로 기소되어 17945, 50세의 나이로 단두대의 이슬과 함께 사라졌다. 동시대 한 연구자는 이렇게 회고했다. “그의 머리를 자르는 것은 한순간이지만, 그 정도의 두뇌를 가진 사람이 나타나려면 100년은 걸릴 것이다.”

 

처형되기 전날 밤, 라부아지에는 친구에게 한 통의 편지를 보낸다. 그 편지에서 그는 되도록 약간의 찬사와 함께 기억되기를 바란다라고 적었다. 현재의 평가를 알면 그는 분명 기뻐할 것이다. 물론 라부아지에가 자신만의 위대한 발견을 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의 발견을 해석하고 분석함으로써 발견자 못지않게 화학계에 이바지한 것이다.

 

자크루이 다비드의 《마라의 죽음》

 

다른 의견으로는 장 폴 마라는 한때는 의학자를 지망했으나 라부아지에에게 퇴짜를 맞았다고 한다. 그래서 라부아지에가 숙청당하고 1년 후 사형당할 때 개인적인 감정도 전혀 없지는 않았을 거라는 말도 있다. 하지만 이건 사실이 아니다. 그가 초기에 면허 없이 의료행위를 하기는 했지만 당대에는 그렇게까지 문제가 될 일은 아니었고, 결국 대학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왕족의 후원을 받을 정도로 의사로서 명성이 꽤 높았다. 라부아지에와 사이가 나빴던 것은 사실이지만, 의학 문제는 아니었다. 사실 개인적인 감정이 개입되었다는 구체적인 증거도 없을뿐더러, 라부아지에의 직업이었던 징세 청부업자라는 게 자기 구역에서 재주껏 세금을 뜯어다 일정액의 상납금을 바치고 나머지는 자기가 먹는 일이었기 때문에 대중에게 엄청난 원한을 사는 것이 오히려 당연했고, 따라서 최우선적인 숙청 대상 중 하나였다. 결정적으로 라부아지에가 체포, 구금되어 처형당한 것은 마라가 죽은 다음이었고 다른 징세 청부업자들과 함께였다. 오히려 라부아지에는 혁명 초기에 혁명정부와 사이가 나쁘지 않아 미터법 도입에 크게 이바지하기도 했으나, 마라가 암살된 후 공포정치가 펼쳐지자, 그 영향으로 숙청당한 것이다. 마라 때문에 죽은 것이 아니라 마라가 죽는 바람에 죽게 된 것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728x90